약칭은 BVSC 이다.
원래는 쿠바음악의 전성기로 불리는 1930~1940 년대 쿠바의 수도 아바나 동부에 있던
고급 사교클럽을 일컬었다. 당시 아바나에는 카바레, 클럽같은 사교장이 번성하였는데,
쿠바 음악의 황금기를 일군 대표적인 음악가들이 모두 이 클럽에서 음악을 연주하였다.
부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은 '환영받는 사교클럽' 을 뜻한다.
그러나 쿠바혁명으로 카스트로 정권이 들어서면서
사회주의 이념을 담은 포크송이 주류를 이룸에 따라 쿠바의 전통음악은 뒤로 밀려났다.
이로 인해 부에나비스타소셜 클럽을 비롯해 번성하던 수도 아바나도 쇠퇴하고,
이곳에서 연주하던 음악가들도 뿔뿔이 흩어졌다.
이후 30여년간 쿠바 음악은 침체기에 빠져있었다.
1995년 미국의 기타리스트이자 레코딩 프로듀서인 R. 쿠더와
영국의 음반사 월드 서킷 사장 N. 골드가 쿠바 음악가들의 합주를 녹음하기 위해 쿠바를 찾았다.
이듬해 다시 쿠바를 찾은 R. 쿠더는
흩어져 있던 부에나비스타소셜클럽의 노인 연주자들을 하나하나 찾아내
허름한 스튜디오에서 6일만에 라이브로 녹음을 끝냈다.
부에나비스타소셜클럽은 번성했던 옛 클럽의 이름을 그대로 따서 R. 쿠더가 붙인 명칭이다.
당시 녹음한 앨범은 '월드 서킷, 논서치' 라는 레이블로 출시되었는데,
출시와 동시에 세계적인 쿠바음악 붐을 일으키며 600만장 이상이 팔렸다.
이브라힘 페레르(가수)
루벤 곤잘레스(피아니스트)
엘리아데스 오초아
오마라 포르투온도(유일한 여성멤버)
콤프레이 세군도(기타리스트)
1946년 생인 오초아를 제외하고는 모두 70대 이상의 노인으로 구성되었다.
1997년 그래미상 베스트 트로피컬 라틴 퍼포먼스 부문을 받았으며,
1999년에는 독일 영화감독 빔 벤더스에 의해 클럽 이름과 같은 제목의 다큐멘터리로 만들어져
이듬해 아카데미상 후보에 오르기도 하였다. (출처: 네이버)
나니아 연대기 - 사자, 마녀 그리고 옷장 (2005) (31) | 2012.03.14 |
---|---|
파리 텍사스 (Paris, Texas, 1984) (0) | 2012.03.05 |
뜨거운 오후 (Dog Day Afternoon, 1975) (0) | 2012.03.05 |
로빈 후드 (Robin Hood, 2010) (0) | 2012.03.05 |
하하하 (Hahaha, 2009) (1) | 2012.03.05 |